목록📂Basic (5)
Dev.Std

Ethernet이란?LAN 구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킹 방식 중 하나로 OSI 7계층 중 Layer 2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IEEE 802.3 표준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Token ring, FDDI 방식이 있다. Ethernet Frame 구조 PreambleFrame 전송 시작 나타내는 필드이며, 10101010이 반복되는 7byte 길이수신 측에 Frame이 전송될 것을 알리고 0과 1을 제대로 구분하도록 Synchronization(동기) 신호를 제공SFD (Start of Frame Delimiter)10101011의 값을 가지며 Frame 시작 알리는데 사용Destination MAC address (목적지 주소)수신지 MAC addressSource MAC addres..

TCP/IP란?인터넷 프로토콜 슈트(Internet Protocol Suite)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TCP와 IP가 가장 많이 쓰이기 때문에 TCP/IP 프로토콜 슈트라고도 불린다. TCP/IP란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의 약자로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에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TCP/IP를 묶어서 하나로 표현하기는 하지만 사실 TCP와 IP는 별개의 프로토콜이다.TCP/IP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정의하고 기기 간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한다. IP를 사용할 때 패킷의 전달 여부와 순서를 보장받지 못하지만, TCP가 IP 위에서 동작하..

물리 계층물리 계층(Physical Layer)은 OSI 7 Layer 모델 중 가장 낮은 계층으로 상위 계층이 전송한 데이터를 물리적 매체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전기 신호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 측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0과 1로 구성된 비트열 데이터)를 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매체를 통해 수신측에 보낸다. 그러면 수신 측은 전기 신호를 다시 비트열로 복원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에 전송한다. 이 과정은 LAN 카드(NIC)에서 수행된다.물리 계층 기능 물리 계층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회선 구성 : 점대점, 다중점 등 2개 이상 장치의 회선 구성을 결정데이터 전송 모드 : 단방향, 양방향 등 연결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 모드를 결정접속 형태 : 네트워크 접속 형태 결정(성형, ..

Uni, Broad, Multi, Any네트워크 캐스팅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유니캐스트(Unicast),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가 있다.유니캐스트(Unicast)일대일 통신방식을 의미작동 방식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프레임(수신지 MAC 주소 포함)을 전송모든 컴퓨터는 프레임을 전송받아 LAN 카드에서 본인의 MAC 주소와 비교자신의 MAC 주소와 동일하면 전송된 데이터 수신, 동일하지 않다면 버림CPU에 영향을 주지 않아 컴퓨터의 성능 보존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컬 LAN에 있는 모든 네트워크 단말기에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ARP가 바로 브로드캐스트 방식)작동 방식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네트워크 단말기에 데이터를 수신LAN 카드는 자신의 MAC 주소와 ..

OSI 7 계층이란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통신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 기구(ISO)에서 만든 개념 모델7개의 추상적인 계층 1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물리 계층에서는 단순히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전기적, 기계적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통신 단위는 비트(Bit)이다. 대표적인 1계층 장비로는 허브(Hub)와 리피터(Repeater)가 있다.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MAC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물리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여러 외부 요인으로 인해 물리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에 오류..